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본인 이름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예(藝)에 살다
판권소개
범우사
|
김충현
|
2019-08-20
28
읽음
0
0
0
1 / 80 목차보기
처음
1 / 80 목차
다음
로그인
회원가입
범
범우사
판권소개
차 례
◎ 서문
외길 40년 예(藝)에 살다
한학자(漢學者) 집안에서 태어나
혼자 한글 서예 연구
집안에서 세운 오산학원(梧山學園)
유관순 기념비―해방후 최초로 쓴 한글 비문
존경하는 스승 정인보(鄭寅普) 선생
정인보 선생의 일대기
제1회 국전과 첫 개인전
한국미술가협회 만들어
한강대교 제자(題字) 써
58년 동방연서회 창립
조선조 마지막 서화가 영운(潁雲) 작고
주도(酒道)를 지킨 〈二·七會〉 회원
4·19 기념탑 비문과 경복궁의 건춘문, 영추문
《서예집성》 집필
일중묵연(一中墨緣)에서 제자 가르쳐
〈한국 60년 근대미술전〉 추진위원 맡아
송광사(松廣寺) 등 유명사찰 현판 써
명산 속에 그림처럼 고운 자운서원(紫雲書院)
대만에서 열린 〈한국미술전〉 참가
30여 년 연구 마무리―1978년 《한글서예》 출판
북한산과 나
서울의 산과 강
방한(防寒)과 피서(避暑)
석촌음(惜寸陰)
큰 일
북한산과 나
벗으로서의 당림(堂林) 이종무(李種武)
먹을 같이 갈며
학서총화(學書叢話)―소년기부터 회고하면서
임지승묵(臨池勝墨)
서단수상(書壇隨想)
서예개관(書藝槪觀)―1970년 서단회고
서예 미답지(未踏地), 한글 고체(古體)
정신 집중되는 습관 길러야
우리 글씨 쓰는 법―자서(自序)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서전(書展)을 보고
서예국전(書藝國展)에 대한 나의 제언(堤言)
안진경(顔眞卿) 비첩(碑帖)의 학습 요령
학서요령(學書要領)
중국 기행
한국 서예와 완당(阮堂) 김정희(金正喜)
서예교육의 문제점―오늘의 현황을 진단하고 그 방향과 대책을 모색함
한글은 아름답다―우리 글씨는 얼마든지 발전시킬 수가 있다
천자문(千字文) 견문(見文)
예서(隸書)와 경수당(警修堂) 시(詩)
국(國)·한(漢) 서예 논고
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미술문화의 발자취
감나무골에 집을 짓고
포손지희(抱孫識喜)
시엽산방(枾葉山房) 팔영(八詠)
한벽원송(寒碧園頌)
일사(一史) 서화전(書畵展)
백악동부(白岳洞府)
서(書) 조비(祖驢) 유필 후(遺筆後)
소헌(紹軒) 서전(書展)에
청람(淸嵐) 선생 주갑대경(周甲大慶)
명경(明卿)의 환갑을 기뻐하며
선경(善卿) 주갑지희(周甲識喜)
농경(農卿) 주갑지희(周甲識喜)
서(序)·발(跋)·지(識)
《한국문방제우시문보(韓國文房諸友詩文譜)》 서(序)
《조선영물시선(朝鮮詠物詩選)》 서(序)
완당 묵적에 대한 발〔阮堂墨蹟跋〕
담원 고시 경인본 소지〔饋園古詩景印本小識〕
조사
곡(哭) 영운(潁雲) 김용진(金容鎭) 선생
심산(心汕) 선생을 곡(哭)함
작사(作詞)
창문고등학교 교가
경동중고교 교가
작품 해설
일중 김충현 글씨의 서예사적 맥락―석봉(石峯)·추사(秋史) 잇는 조선후기 서맥(書脈)의 적손
일중대사(一中大師) 회고전(回顧展)에
일중의 문학세계(文學世界)
◎ 작가 소개
◎ 작가 연보